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 후속조치 이행 성과…10년 중 최대 폭 낮춰

     

    18,700원에 20GB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렴한 휴대폰 요금제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월 15일 "알뜰폰 경쟁력 강화 대책" 발표 이후 저렴한 가격대의 도매가격이 급격히 인하됨에 따라 1만 원 상당의 5G 20(GB) 요금제가 시장에 새롭게 출시되었다고 4일 발표했습니다.

     

    '1만 원대' 5G 20기가 알뜰폰 요금제 출시 잇달아'1만 원대' 5G 20기가 알뜰폰 요금제 출시 잇달아'1만 원대' 5G 20기가 알뜰폰 요금제 출시 잇달아
    '1만 원대' 5G 20기가 알뜰폰 요금제 출시 잇달아

     

    20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요금제는 SK텔레콤(도매 제공 의무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중소 알뜰폰 사업자를 중심으로 18,000원에서 19,000원에 판매됩니다.

     

    앞으로 더 많은 사업자들이 이전보다 더 나은 혜택을 제공하는 요금제 출시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지난달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도매 서비스 의무 산정 방식을 확대하기 위해 도매 서비스 의무 고시 개정을 완료했습니다.

     

    기존 고시에서는 도매가격 산정 방법으로 '소매가 할인 방식'만 규정했지만, 개정 고시에서는 원가 기반 방식을 추가했습니다. 고시 개정으로 새로 추가된 '제공원가제 방식'을 적용하면 저렴한 휴대폰의 도매가격을 대폭 인하할 수 있으며, 이번에 확정된 저렴한 휴대폰의 도매가격은 필수 도매 제공업체입니다.

     

     

    먼저 데이터 도매대가는 36.4%(1.29원/MB→0.82원/MB),

     

    음성 도매대가는 5.1%(6.85원/분→6.50원/분) 각각 인하됐다.

     

    '1만 원대' 5G 20기가 알뜰폰 요금제 출시 잇달아
    '1만 원대' 5G 20기가 알뜰폰 요금제 출시 잇달아

     

    특히 이번에는 데이터 도매가격이 1원 이하로 떨어지면서 10,000원대 5G 20G 요금제 등 알뜰폰 업체들의 경쟁력 있는 요금제 출시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저가 전화 회사는 대량 데이터를 사용할 때 도매가격 할인의 범위와 폭을 확대했으며, 1년 동안 사용할 데이터를 미리 구매할 경우 도매가격을 더욱 낮추는 연간 사전 구매 시스템도 구축했습니다.

     

    연간 선구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볼륨 기반 도매가격을 낮추면 데이터 도매가격이 이전보다 최대 52%까지 인하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후, 사용자가 기본 데이터 제공량을 소진하더라도 제한된 속도로 사용할 수 있는 QoS 제품을 저렴한 가격대의 요금제에 추가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로 확대했습니다.

     

    중소 알뜰폰 업체의 경우, 가입자 회선당 납부해야 하는 최소 사용료도 내년까지 1,400원에서 1,100원으로 점진적으로 인하될 예정입니다. 또한 수익 공유 방식으로 5G 요금제를 강화했습니다.

     

    저렴한 요금제 사용자의 5G 요금제 옵션을 강화하기 위해 이익 공유 방식으로 도매 제공되는 5G 요금제가 9종에서 12종으로 확대되었으며, 기존에 제공되던 5G 요금제의 이익 공유 비율도 1~1.5% 감소했습니다.

     

    그 결과, 합리적인 가격 경쟁 환경을 제공하고 소비자들에게 더 합리적인 가격 계획을 도입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무엇보다 이번 데이터 도매가격 인하는 지난 10년간 가장 큰 폭입니다.

     

    1만 원대 5G 20GB는 요금제 출시 추진 등 알뜰폰 시장 활성화와 가계 통신비 절감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앞으로 보다 저렴하고 다양한 알뜰폰 요금제가 출시될 예정"이라며 "정부는 통신비 부담을 덜어주고 민생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을 신속히 추진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국 통신경쟁정책과(044-202-6645)

    [출처] 한국 정책 브리핑 (http://www.korea.kr )

    반응형